| 1번째 줄: | 1번째 줄: | ||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|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| ||
| + | |||
| + | === 범위 생성 === | ||
| + | DHCP 범위 생성은 VLAN 단위의 IP 주소 범위를 설정해 클라이언트가 속한 VLAN에 따라 IP 주소를 할당합니다. | ||
==== 새로운 범위 생성 ==== | ==== 새로운 범위 생성 ==== | ||
| − | = | + | DHCP > DHCP 범위를 클릭 후 우측 상단 "새로운 DHCP 범위 생성" 버튼을 클릭 후 생성 할 수 있습니다.<br> |
| − | + | {| class="wikitable" | |
| + | | DHCP 버전 || 서비스할 DHCP 버전을 의미합니다. | ||
| + | |- | ||
| + | | 이름 || 식별 할 수 있는 DHCP 범위 이름을 입력하세요 | ||
| + | |- | ||
| + | | 임대시간 || IP 주소 임대 시간을 의미합니다. 자세한 사항은 [[임대 시간]]을 참고하세요. | ||
| + | |- | ||
| + | | 옵션 자동 예약 || 클라이언트에 할당 한 IP 주소가 자동 예약되어 특정 주소는 항상 특정 클라이언트에 할당 하게 합니다. | ||
| + | |- | ||
| + | | 옵션 stateful DHCPv6 service || DHCPv6에만 해당하며 자세한 사항은 [[Stateful vs stateless DHCPv6]]을 참고하세요. | ||
| + | |- | ||
| + | | Failover | .. | ||
| + | |- | ||
| + | | 상태 | .. | ||
| + | |- | ||
| + | | IAID | .. | ||
| + | |- | ||
| + | | Failover | .. | ||
| + | |||
| + | |} | ||
| + | |||
==== 추가 범위 등록 ==== | ==== 추가 범위 등록 ==== | ||
2020년 12월 14일 (월) 18:37 판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범위 생성
DHCP 범위 생성은 VLAN 단위의 IP 주소 범위를 설정해 클라이언트가 속한 VLAN에 따라 IP 주소를 할당합니다.
새로운 범위 생성
DHCP > DHCP 범위를 클릭 후 우측 상단 "새로운 DHCP 범위 생성" 버튼을 클릭 후 생성 할 수 있습니다.
| DHCP 버전 | 서비스할 DHCP 버전을 의미합니다. |
| 이름 | 식별 할 수 있는 DHCP 범위 이름을 입력하세요 |
| 임대시간 | IP 주소 임대 시간을 의미합니다. 자세한 사항은 임대 시간을 참고하세요. |
| 옵션 자동 예약 | 클라이언트에 할당 한 IP 주소가 자동 예약되어 특정 주소는 항상 특정 클라이언트에 할당 하게 합니다. |
| 옵션 stateful DHCPv6 service | DHCPv6에만 해당하며 자세한 사항은 Stateful vs stateless DHCPv6을 참고하세요. |
| .. | |
| .. | |
| .. | |
| .. |
추가 범위 등록
DHCPv4
DHCPv6
임대 예약 등록
임대 예약이란 특정 호스트에게 항상 동일한 IP 주소를 임대하고 다른 호스트에는 그 주소를 임대하지 않게하기위해 관리자가 호스트에 IP 주소를 사전에 할당하는것을 의미합니다.
DHCPv4
DHCPv6
현황 모니터링
- IP 실시간 임대 현황
- IP 주소 임대 현황